본문 바로가기

세상바로보기

사과값이 비싼 근본적인 이유는?

요즘은 4계절 내내 사과를 먹을 수 있다. 

저장 창고 덕분이다. 사과는 가을에 수확해서 저온저장창고에 저장해 놓은 후 조금씩 시장에 푼다.

저장창고 보관료 떄문에 사과가 가을보다 비쌀 수는 있다. 

 

왜 사과값은 계속 가격이 오르는 것일까?

 

답은 간단한다.

 

대기업이 도매시장을 운영하면서 가격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과일과는 아무 상관없은 그냥 자본이 많은 기업이 한다. 거기에 사과 수입은 아직 35년째 검토 중이나 수입도 안 된다

 

  • 중앙청과: 아모레퍼시픽 자회사 태평양 개발
  • 대아청과:  호반건설·호반 프라퍼티
  • 동화청과: 신라교역
  • 서울청과: 고려철강
  • 한국청과: 일신여상 재단 아들 개인 소유. 

 

 

2023년에 5대 민간 청과도매법인의 총 순이익은 약 320억원이다 

 

 

가락시장 청과 회사, 평균 영업이익률 26.1%농민들의 수수료 인하 요구도 ‘모르쇠’

가락시장이 개설된 1984년에 최초 지정된 이후 도매법인들은 한 번도 퇴출(재지정 취소)된 적이 없다. 비싼 값으로 시장터도 살 필요 없이 공사에 낮은 시설사용료만 내면 된다.

일각에서는 다섯 곳의 청과 회사가 저렴한 임대료를 내고, 앉아서 농민들에게 수수료를 받아 매일 현금을 챙기는 ‘알짜배기 회사’라는 말도 나온다.

말 그대로 대기업들 사이에서 가락시장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소문났다. 실제로 지난해 다섯 곳의 청과 회사 도매법인들의 평균 영업이익률이 26.1%를 기록했다.

일반 대기업 평균 영업이익률은 5% 수준인 것에 비해 무려 이익률이 5배가 넘는다. 그렇다면 농민들에게 걷는 수수료는 낮은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비싸다. 무

, 배추 같은 대중적인 채소는 6~7%, 사과, 배 등 과일은 4%(도매법인들은 농안법에 규정된 7% 이내에서 정해진 금액의 하역비를 별도로 농민들에게 징수하고 있다. 4%라고 해도 실질적으로 농민들은 거의 7%에 가까운 수수료를 내고 있다.)의 수수료를 생산자에게 부과하고 있다. 

출처: 대기업이 운영하는 ‘가락시장’

 

 

 

수년 간 바뀌지 않는다.  

 

 

 

다음은 2024녀 4월 30일 방송이다 

 

[PD수첩 10분 컷] 사과 물량을 조절하는 업체들? '금사과'에 숨겨진 비밀 - 2024년 4월 30일 방송

https://www.youtube.com/watch?v=a4hQPZpWh5o

 

 

 

 

다음은 2022년 12월 19일 방송이다. KBS 같은 기레기 방송도 언급했다. 

반복되는 농산물 산지 폐기, 유통 구조 문제? 농산물 가격의 비밀-누가 돈을 버나? [풀영상]ㅣ시사기획 창 311회 (2020.12.19)

 

 

https://www.youtube.com/watch?v=TO2dBVmA1wY

 

 

 

정부는 대기업을 바꿀 생각이 없다. 

 

정부가 사과를 수매해서 저장창고에 넣을 생각도 없다. 

 

가을에 사과가 나올 때 가능한 유통사를 거치지 않고 사과 농가와 직거래로 사과를 먹어야 겠다. 

 

가을 이후에는 사과를 먹지 말아야 겠다.  

 

제사상에도 사과를 올리지 않아야 겠다. 

 

사과는 가을에만 먹는 걸로 해야겠다. 

 

 

 

일부 글에 제휴 링크가 포함될 수 있으며 파트너스 활동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추천 글